본문 바로가기

풍경사진253

2025. 5. 17. 벽초지 수목원의 풍경 2025. 5. 19.
2025. 05. 03. 인천대공원의 봄 1 2025. 5. 15.
2025년 4월 4일. 오설록의 벚꽃 제주에 있는 3일간 날씨가 환상적이다.작년 이맘때 니콘 Z8로 기변하여 사진을 찍다, 잔디밭에 숨어있는 조명 장치에 넘어져 구입한지 불과 일주일만에 카메라가 아작나는 사건이 있었다. 요즘은 모듈별로 교체하여 다시 새것이 되었지만, 첫날 파손되어 사진을 찍지 못하는 고통(?)과 신품의 파손은 가슴을 아리었다. 기억은 잊혀진다더니, 다시찾은 오설록의 풍경은 때마침 만개한 벚꽃으로 마음이 위로받고 힐링이 된다. 2025. 4. 9.
2025년 4월 4일. 제주 대포동 주상절리 대포동 주상절리  서귀포시 대포동 해안을 따라 「지삿개」또는「모시기정」이라 불리는 절경지가 있다. 이곳에는 1km 범위에 걸쳐 해안 절벽을 따라 칼로 정교하게 자른 듯한 현무암 돌기둥들이 빼곡하게 들어서 있는 주상절리가 잘 발달되어 있다. 주상절리는 현무암질 용암이 굳으면서 부피가 줄어드는 과정에서 생긴다. 즉, 용암이 지표에 노출되어 빨리 식는 환경에서 표면이 고체로 굳으면서 부피가 줄어들 때, 용암의 내부는 서서히 냉각되기 때문에 절리가 생성된다. 이곳의 주상절리는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현무암 주상절리이다.  이 대포동 주상절리를 구성하는 암석은 화학 성분에 근거하여 ‘대포동현무암’으로 불린다. 대포동현무암은 25만 년 전에 중문 북쪽의 녹하지악(鹿下旨岳) 분석구에서 분출하여 남쪽으로 흘러내린 것으로 .. 2025. 4. 9.
2025년 4월 3일 제주 제주는 경기 서울보다 일주일 빠른 봄을 맞고벚꽃의 개화기를 맞았다.맑은 날씨의 푸른 하늘은 벚꽃을 더 도드라지게 만든다.  서귀포 작은 소공원에서 핀 벚꽃들.                성산일출봉 주변        제주 레일바이크 2025. 4. 9.
2025. 4. 2일 제주 수월봉(엉알해안) 풍경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고지도를 보면 수월봉을 고산(高山)으로 표기하고 있다. 바닷가에서 70여 미터의 높이로 낮은 해안 언덕인데도 불구하고 ‘높은 산’의 의미로 부르고 있다. 현재 고산리라는 마을 이름의 유래가 바로 이 수월봉이다. 높이 77m의 수월봉은 작은 언덕 형태의 오름이지만, 해안절벽을 따라 드러난 화산재 지층 속에 남겨진 다양한 화산 퇴적구조로 인해 화산학 연구의 교과서 역할을 하고 있다. 지구 과학적으로 중요하고 경관이 아름다우며, 유네스코에서 지정한 세계지질공원이다.지질 명소로 선택된 이유는 ‘엉알’ 해안 단애의 화산쇄설층에서 관찰할 수 있는 아름다운 퇴적구조 때문이다. 아마 전세계 수성화산 중에서 가장 멋진 응회암의 퇴적구조이다.14,000년 전 펄펄 끓는 마그마가 바닷물을 만나 폭발적으로.. 2025. 4. 9.
2025.03. 29. 한택 식물원의 봄 3월의 꽃샘 추위가 매섭고, 오늘은 비가 예보되어 있다.비오는 시간은 10시.어디를 다녀오기에는 어정쩡한 시간이다.일기 예보를 보고 일기도를 나름 분석해보니 한택식물원이 있는 백암면은 11시 정도에 비구름이 도달할 것 같다.일찍 도착해서 두 시간 둘러보기 위해 서둘러 출발해 본다. 8시 10분 도착.식물원 개관 시간은 9시인데, 조기 입장을 물어보니 흔쾌히 허락해주어서 빠르게 둘러볼 수 있었다.  매 년 오는 곳이라 시기와 개화되는 꽃을 예측할 수 있는데,3월에는 목련과 산수유 정도 개화되어 있을 것이라 예측하였는데,목련은 70% 정도 개화되어 일주일 후인 4월 초가 최고조 일 것 같다.       메인 거리에 있는 산수유.개화가 80% 정도인 것 같다.              생각지도 않은 히어리가 만.. 2025. 3. 31.
2025년 2월의 제주 구엄리 돌염전과 구업포구     용운동 해안도로  금녕해수욕장 앞의 비양도                    한경 해안도로  수월봉에서 본 차귀도 해변     서귀포항 서귀포층 화석단지    새섬교  하도해수욕장  광치기해변 유채꽃밭         오조포구 순환산책로            하도리 MJ호텔 해변 2025. 2. 26.
2025. 1.28. 인천대공원 설경 2025. 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