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칭 : 적운(Cumus ), 쎈구름
높이 : 0.5 km <
구성 : 물방울+ 일부 빙정
특징 : 여름철 맑은 하늘에 뭉게 뭉게 솟아오른 구름
- 적운은 윤곽이 뚜렷한 서로 떨어져 있는 농밀한 구름으로 수직으로 솟아올라서 둥근 산봉우리나 탑 또는 지붕 모양을 하고 있다.
- 이 구름의 상부는 솟아올라 양배추와 같은 모양으로 되기도 한다.
- 태양에 비치는 부분은 매우 희고 밝게 빛나 보이나 운저는 비교적 검은색이고 거의 수평을 이루고 있다.
- 적운은 주로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고 기온이 현저하게 낮은 부분에서는 얼음조각이 섞여 있을 때도 있으며 얼음조각이 성장하게 되면 적운은 적란운으로 변화한다.
- 적운은 대기 하층의 기온 감율이 격심할 때 공기의 대류 현상으로 발생하는데, 이처럼 큰 기온 감율을 발생케 하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지면이 태양복사를 받아 가열되는 것과 비교적 온난한 지면이나 수면 상을 한기가 통과할 때 그 밑의 접촉면이 가열되는 것 등이다.
- 적운은 고적운 또는 층적운에서 되는 일도 있고 층적운, 층운이 변화하여 되는 수도 있다.
- 층운이 변화하여 되는 적운은 육지에서 아침에 생기는 수가 많다.




















댓글